다이드제인, 로바스타틴 유발 근위축 개선

다이드제인, 로바스타틴으로 인한 근육 위축 증상 개선

로바스타틴은 적효모쌀에서 유래된 지질저하제로, 근육 질량과 힘에 영향을 미치는 골격근 위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면, 다이드제인은 대두와 전통 중의약에서 추출된 이소플라본으로, 근육 관련 질환 치료에 잠재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이드제인이 로바스타틴에 의해 유도된 근육 위축을 완화할 수 있는지와 그 기전을 조사했습니다.

연구는 생체 모델인 쥐와 제브라피쉬, 그리고 세포 외 배양에서 C2C12 근세포 위축 모델을 활용해 다이드제인의 효과를 검증했습니다. AMPK/FOXO3a 경로는 특정 시RNA 타겟팅 및 다양한 작용제/억제제를 통해 설명되었습니다. 연구 방법으로는 면역형광, 조직 염색, Western blotting, 혈청 크레아틴 키나제 수준 측정이 포함되었습니다.

결과에 따르면 다이드제인은 로바스타틴으로 인한 골격근 위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습니다. 또한 혈청 크레아틴 키나제 수준을 낮추고 쥐의 근력 강화를 개선했습니다. 이 기전은 AMPK 활성화를 차단하여 로바스타틴으로 유도되는 FOXO3a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FOXO3a의 핵 내 이동을 방지해 Atrogin-1과 MuRF-1과 같은 근육 분해 단백질의 감소를 유도합니다.

발현 억제 실험을 통해 FOXO3a가 로바스타틴으로 유도된 근세포 위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이드제인이 이들의 핵 이동을 억제함을 확인했습니다. 더불어, AMPK 작용제는 다이드제인의 보호 효과를 반전시킴으로써, 다이드제인의 작용이 AMPK 경로의 억제에 의존함을 시사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다이드제인은 AMPK/FOXO3a 신호 경로를 조절하여 로바스타틴에 의한 근육 위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잠재적 치료 전략으로 평가됩니다. 다이드제인의 근육 조절에서의 치료적 응용을 탐색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이번 연구는 다이드제인의 약리 효과와 스테틴에 의해 유도된 근육 위축 관리에서의 잠재적 응용을 이해하는 데 기여합니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