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성 섬유화 및 확장성 심근병증에서 주목받는 BMP6

확장성 심근병증의 잠재적 치료 표적, BMP6

확장성 심근병증(DCM)은 대표적인 심부전 원인 중 하나로, 그 진행 과정에서 염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령과 염증은 심장 섬유화에 함께 영향을 미쳐 심부전과 관련된 병적 재구성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 결과 DCM을 앓고 있는 심장에서는 염증세포 침투와 섬유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대량 RNA 시퀀싱 및 단일세포 RNA 시퀀싱 분석 결과, 섬유아세포에서 BMP6 유전자의 발현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ROC 곡선 분석은 BMP6의 높은 특이성을 보여주었으며, 멘델 무작위 분석 결과 BMP6을 DCM의 보호 인자로 확인했다. 더불어, BMP6 유전자가 감소할 경우, SMAD6 발현은 줄어들고 COL1A1 발현은 크게 증가하여 BMP6의 항섬유화 역할을 시사했다.

연구방법 소개 및 결과

이번 연구에서는 transcriptomics 분석, 유전자 공동발현 네트워크 분석, 면역세포 침투 평가, 멘델 무작위 분석을 통해 DCM 관련 바이오마커를 식별했다. 그 결과, DCM가 있는 심장에서는 정상보다 면역 세포 침투가 더 활발했다. 특히 섬유아세포에서의 BMP6 발현이 현저히 증가했으며, BMP6의 특이성과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MP6의 역할과 치료 가능성

본 연구는 BMP6이 DCM에서 섬유화와 관련된 지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항섬유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MP6는 섬유화의 심각도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치료 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결론

BMP6은 DCM의 염증성 섬유화 치료를 위한 유망한 개입 대상이다. 이를 통해 DCM 치료에 새로운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