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립톨라이드, 당뇨성 신장병 개선 효과

당뇨병성 신장 질환에서의 트립톨라이드 효과

당뇨병성 신장 질환(Diabetic Kidney Disease, DKD)은 말기 신장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주로 미세알부민뇨를 특징으로 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고혈당이 사구체 족세포에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와 programmed cell death인 ferroptosis를 유도하여 신장 손상과 단백뇨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통 중국 의학에서 유래한 트립톨라이드(Triptolide)는 항염증, 항산화, 족세포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DKD에서 단백뇨를 개선할 수 있음이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정확한 작용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는 트립톨라이드가 ferroptosis를 억제하여 db/db 마우스에서 단백뇨를 역전시키는지 여부와 관련 보호 메커니즘을 조사했습니다.

트립톨라이드의 족세포 보호 및 단백뇨 감소 효과

동물 실험 및 세포 실험에서 트립톨라이드는 ferroptosis를 억제하여 db/db 마우스의 족세포를 보존하고 단백뇨를 감소시켰습니다. 트립톨라이드는 글루타티온 퍼옥시데이스 4(GPX4), 페리틴 중쇄(FTH-1), 시스틴/글루탐산 역수송체 SLC7A1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트랜스페린 수용체 1(TFR-1)의 생산을 감소시켰습니다. 또한, 산화 스트레스와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을 억제하고, NFE2-related factor 2 (Nrf2)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ferroptosis 관련 하위 표적의 발현을 변화시켰습니다. 특히, 족세포의 액틴 세포골격은 트립톨라이드에 의해 안정화되었고, 여과 장애를 특징짓는 엽상 격막에서 단단한 결합으로의 전환이 완화되었습니다.

결론: 신장 여과 장벽 안정화

트립톨라이드는 Nrf2의 발현을 상승시켜 신장에서의 ferroptosis를 억제함으로써, DKD에서 사구체 족세포의 세포골격을 안정화하고 엽상 격막에서 단단한 결합으로의 전환을 감소시킵니다. 이를 통해 트립톨라이드는 신장 손상을 방지하고, 당뇨병성 신장 질환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합니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