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슨병과 인지 장애: 철포자사와의 연결 고리
윌슨병(Wilson’s disease)은 구리 대사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 질환으로,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과 인지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철포자사(ferroptosis)는 특정 유형의 세포 사멸로, 다양한 인지 기능 장애와 연관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윌슨병에서의 철포자사와 인지 장애 간의 연결고리는 여전히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윌슨병 치료를 위한 연구 방법과 발견
본 연구에서는 윌슨병의 인지 장애(WDCI) 치료 가능성을 철포자사 관련 경로를 통해 탐구하기 위해 역 네트워크 약리학, 데이터 마이닝, 분자 도킹 기술을 결합한 다각적 접근법을 활용했다. 이를 통해 P38α, GSK3β, P53, GPX4, PTGS2와 같은 여러 단백질들이 WDCI 치료에 중요한 표적임을 확인했다. 특히, Diosgenin(DG)이 이 치료 프레임워크의 주요 구성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동물 모델을 통한 치료 효과 검증
WD의 구리를 과다 적재한 쥐 모델에서, Morris 물 미로 테스트, Y 미로,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염색, 전자현미경, 그리고 면역형광 기법을 통해 DG가 인지 기능 회복을 촉진하고 해마 신경의 구조적 손상을 줄이며 미토콘드리아의 구조적 완전성을 보호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Western blot(WB) 및 정량 반전 전사 PCR(qRT-PCR) 분석을 통해 DG가 P38α, GSK3β, P53, GPX4, PTGS2 등 단백질과 mRNA 발현 수준을 크게 증가시켰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Diosgenin(DG)의 항산화와 신경 보호 효과
Diosgenin은 Fe2+, 말론디알데히드(MDA),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 활성산소(ROS)등 산화 스트레스 지표의 비정상적인 발현을 효과적으로 되돌렸다. 연구 결과는 Diosgenin이 전통 중국 의학에서 중요한 단일 성분으로 주목받고 있음을 보여주며, 임상적으로 WDCI 치료의 잠재적인 역할을 밝힌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