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Wu-Tang의 간섬유화 개선 효과
Si-Wu-Tang이 간섬유화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간섬유화는 만성 간 손상에 대한 복잡한 회복 과정이며, 간 내의 콜라겐 합성과 대사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로 인한 세포외기질(ECM)의 과다 침착은 간의 구조적 변화와 기능 장애를 초래한다. 간 별세포(HSC)는 간섬유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효과적인 치료법은 아직 제한적이다. 간동맥 내피세포(LSEC)는 세포 간 통신을 조절하며 HSC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와 치료 메커니즘
Si-Wu-Tang(SWT)은 LSECs의 병리적 과정을 조절하여 BDL로 유도된 쥐의 간섬유화와 동맥 투과성을 개선했다. 이는 COL8A1을 통한 LSEC 부착 억제, IL-1β를 통한 신생 혈관 형성 억제, OLR1을 통한 LSEC의 탈세포화 유도를 포함한다. SWT는 또한 IL-1β에 의해 유도된 LSEC와 HSC 간의 세포 간 통신을 방해하여 간섬유화를 경감시켰다.
결론과 의미
SWT는 LSEC의 혈관신생, 부착, 탈세포화와 관련된 COL8A1/IL-1β/OLR1 경로를 억제하여 간섬유화를 개선했다. 또한 LSEC의 IL-1β 분비를 억제하여 HSC 활성화를 줄였다. 이러한 결과는 SWT가 간섬유화 치료에서 중요한 치료 옵션이 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간 내의 미세환경과 세포 상호작용을 타겟으로 하는 접근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연구 접근 방식
SWT는 네 가지 약재(Ligusticum chuanxiong, Paeonia lactiflora, Angelica sinensis, Rehmannia glutinosa)를 이용해 준비되었다. 췌장 배액 결찰(BDL)을 통해 간섬유화 마우스 모델이 구축되었으며, 여러 실험이 RNA 시퀀싱과 생정보학 분석을 통해 실시되었다. 결과적으로 SWT는 간 조직 병리학과 혈청에서의 간 손상 지표를 개선하고, LSEC의 혈관신생과 세포 부착 과정을 억제하며, 세포골격 재구성을 통한 LSEC 탈세포화를 회복시켰다. 또한, COL8A1, IL-1β, OLR1 경로 조절을 통해 LSEC 기능을 개선하고 LSEC 분비물에 의해 중개되는 HSC 활성화를 줄였다.
이 연구는 간섬유화 치료에 있어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을 타겟으로 하는 SWT의 다면적 접근을 보여준다. SWT는 LSEC 기능을 조절하여 간 동맥의 투과성을 개선하고 HSC와의 통신을 줄임으로써 간섬유화 관리에 있어 유망한 치료 방법으로 평가된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