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약리학, 한약과 현대 약리학의 연결고리
네트워크 약리학은 시스템 생물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전통 한약 이론과 현대 약리학 연구 간의 간극을 메우고 있다. 이 분야는 약초, 성분, 질병, 분석 플랫폼을 다루는 주요 데이터베이스를 요약하며 전통 한약에서 네트워크 약리학의 광범위한 응용을 고찰한다. 이 방법은 특히 한약의 효과를 설명하는 물질적 기초를 규명하고 작용 메커니즘을 해명하며 독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데이터 수집의 표준화 부족과 가공된 약초에 대한 고려가 충분하지 않은 등의 어려움은 여전히 존재한다.
2007년 10월, 앤드류 L. 홉킨스는 네트워크 약리학을 새로운 약리학의 분야로 소개했다. 이 접근법은 약물, 질병, 치료 표적 간의 상호작용을 다루며 다중 표적, 다중 경로 메커니즘에 중점을 둔다. 네트워크 약리학은 시스템 생물학, 생명정보학, 계산 네트워크 과학을 결합하여 복잡한 분자 관계를 분석한다.
전통 한약과 네트워크 약리학의 혁신적 통합
전통 한약은 인체를 통합된 시스템으로 보고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불균형을 질병의 원인으로 본다. 환자별 맞춤 약초 조합을 사용하는 한약은 현대 약리학의 환원주의적 접근과는 대조적이다. 이 간극을 메우기 위해 혁신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한약과 네트워크 약리학의 통합이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1980년대부터 시작된 연구는 한약 증후에 따른 생체분자 네트워크와 약초 조합의 영향을 중점적으로 탐구했다. 연구에 따르면 네트워크 약리학은 전통 한약의 원리에 잘 부합하며 그 약리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데 강력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TCM 네트워크 약리학에서 흔히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에는 전통 중국 의학 시스템 약리학 데이터베이스(TCMSP), 전통 중국 의학 백과사전(ETCM) 등이 있으며, 이는 약초, 화학 성분, 질병 및 잠재적 표적에 관한 필수 데이터를 제공하여 포괄적인 TCM 연구를 지원한다.
네트워크 약리학, 한약의 효과와 안전성을 해명하다
전통 한약의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 네트워크 약리학은 주요 성분 식별, 분리 및 구조적 확인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한약의 특정 약초와 제제의 효과를 해명하고 그 활성 화학 성분 및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 약리학은 한약의 독성학적 평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합 방법론을 통해 잠재적 부작용을 탐구하고 유독 성분을 식별하며, 간독성 등을 포함한 여러 부작용 메커니즘이 밝혀졌다.
한약의 네트워크 약리학 연구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인공지능 및 다중 오믹스 기술을 통합하는 다각적인 접근이 독려된다. 이는 한약의 치료 목표 및 메커니즘의 이해를 향상시키며, 결국 TCM 연구에서 혁신과 정밀성을 향상시킨다.
출처 : 원문 보러가기